• 센터안내 하위분류
  • 진단과치료 하위분류
  • 난임상담실 하위분류
  • 성공사례 하위분류
  • 유산 원인

    본문 바로가기 하단 바로가기
    예약/상담 : 031.725.8500

    유산원인

    염색체 이상
    황체기 결함
    자궁기형
    면역학적 요인
    자궁감염
    원인불명

    염색체 이상

    염색체이상은 크게 나누어 부모의 염색체이상으로부터 야기된 태아의 염색체이상과 부모는 정상이지만 산모의 나이등과 연관되어 태아 염색체 기형이 있습니다. 유산환자에서 볼 수 있는 염색체이상은 대개 염색체 일부의 위치가 바뀌어 있는 이상(Translocation)이 많으며 유산이 2회연속으로 되신 분이라면 두 부부중에 한분이 이상이 있을 확률은 5~6%정도입니다. 임상에서 2회연속적으로 유산이 되신 분들은 부부염색체검사를 꼭 권유하지는 않으며 3회이상 유산이 되신분들은 검사를 권유합니다. 첫번째 아이가 있는 유산환자분들중에도 염색체이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염색체이상이 있다하더라도 부모와 같이 외양적으로 정상적인 보인자일 가능성이 있고 전위된 경우라 하더라도 25%정도는 정상적인 아이가 태어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황체기 결함

    배란후 분비되는 황체홀몬은 임신초기에 분비되어 착상을 도와주고 임신을 유지시키는 중요한 홀몬입니다. 이 홀몬의 분비가 적으면 황체기 결함을 야기하며 불임과 유산의 원인이 됩니다. 진단은 자궁내막검사, 혹은 배란후 1주일경 황체홀몬을 측정하며 판단합니다. 자궁내막검사는 외래에서 기구를 사용하여 자궁내막조직을 채취하여 조직검사를 통해 시행하며 약간의 통증이 있기에 검사전 진통제를 먹고 시행받는 것이 좋습니다. 검사상 이상이 있으면 한번더 시행하여 확진합니다. 자궁내막검사가 번거로우면 배란후 1주일경에 혈액채취로 시행하는 황체홀몬검사가 있는데 2회 실시하여 정상치 보다 저하되어 있으면 황체기 결함으로 진단합니다. 황체기 결함의 치료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배란유도: 클로미펜이나 배란유도주사(HMG)를 투여함으로 배란후 황체홀몬분비를 증가시킵니다. 2. 배란주사 (HCG) : 배란시나 배란이후 HCG를 투여하면 이후 황체홀몬 분비가 증가합니다. 3. 황체홀몬제 투여: 주사제, 질 크림, 질좌제, 경구약등 다양한 홀몬제가 있습니다.

    자궁기형

    태어날때부터 자궁모양에 기형이 있으면 유산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가장 흔한 기형은 쌍각자궁과 중격자궁인데 쌍각자궁보다는 중격자궁의 유산률이 높습니다. 자궁이 2개 있는 경우가 있고 어떤 경우는 한쪽이 퇴화되어 흔적만 남아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진단은 자궁난관조영술, 초음파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이중 쌍각자궁과 중격자궁은 복강경 및 자궁내시경을 통해 구별할 수 있으며 진단과 동시에 복강경하 자궁내시경을 이용한 중격제거술을 시행합니다. 숙련된 의사가 하는 것이 중요하며 수술시간은 대개 30~40분이내에 완료되며 환자는 당일 회복후 귀가할 수 있습니다.

    수술후 재유착을 방지하기 위해 자궁강내에 고무풍선 같은 기구를 삽입해서 5일후 제거하게 되며 홀몬치료로 자궁내막의 재생을 도와줍니다. 홀몬치료후 반드시 자궁난관조영술을 시행하여 자궁이 정상이 된 것을 확인하고 임신을 시도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면역학적 요인

    면역학적인 요인은 전체유산에서 50%이상을 차지하며 원인불명의 유산도 80%정도는 면역학적인 기전으로 설명이 가능합니다. 면역학적인 유산의 기전은 다음과 같이 크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1. 자가항체로 야기되는 자가면역 이상 (autoimmune)
    2. 동종간의(alloimmune) 면역이상 기전
    3. 유산과 연관된 자가항체 : Anti-cardiolipin antibody / Anti-thyroid antibody / Anti-nuclear Antibody /Rheumatoid factor / Lupus anticoagulant, etc
    4. 동종면역에서 유산과 관련된 세포 및 cytokine(분비물질) : Th-1 cytokine(INF-r, TNF-a, etc) / Embryo-toxic factor(배아독성물질) /CD 56+ Natural Killer cell(살해세포)
    진단은 상기 원인 인자들을 혈액검사를 통해 측정하여 양성인 경우 적절한 치료에 들어 갑니다.

    치료방법에 다음과 같은 것이 있습니다.

    1) ACA양성인 경우 혈관내 응고가 문제가 됩니다. 혈관내 응고를 막기 위해 항응고제인 aspirin, heparin등을 투여합니다. 약 임신 20주까지 투여하며 필요한 경우 임신말까지 투여하기도 합니다. Heparin투여는 피하주사를 매일 맞아야 하기에 아스피린에 비해 부담이 되는 치료입니다.
    2) 기타 자가항체 이상일 때 면역글로불린을 투여하여 자가항체수치를 저하시키는 치료를 하기도 합니다.
    3) 황체홀몬이 면역억제효과가 있어 임신20주까지 황체홀몬을 투여하기도 합니다.
    4) 차단항체 생성을 위해 남편의 피를 뽑아 백혈구를 적출하여 부인의 혈관에 주사하는 치료를 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여러 문제점으로 치료에 신중을 요합니다.
    5) 혈액내에 CD 56+ NK cell(살해세포)의 빈도가 높을 때(20%이상) 면역글로불린을 투여합니다. 원인불명일 경우에도 면역글로불린을 투여합니다.
    6) 임신초기에 산모의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고 정성 어린 치료를 하는 것도 큰 도움이 된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자궁감염

    골반장기에 세균에 감염될 때 그 자체가 유산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균주는 chlamydia, Ureaplasma등이 있습니다.

    항생제 투여를 통해 치료가 가능합니다.

    원인불명

    모든 유산검사에 음성인 경우 원인불명으로 판명하며 대개 면역학적인 원인으로 간주 됩니다. 그외에도 환경오염, 심한 스트레스, 흡연등의 원인이 있으나 비교적 빈도가 적으며 흔히 유산의 원인으로 생각하는 육체적 활동, 직장생활, 가사노동등은 별로 유산과 상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임신을 하기 위해 직장을 그만 둘 필요는 전혀 없습니다. 임신되면 꼼짝않고 집안에만 누워계신 분들이 있는데 별로 도움이 안됩니다. 오히려 우울증만 생기고 무기력해지기 쉽습니다.

    유산 원인

    • 염색체 이상

      화살표

      염색체이상은 크게 나누어 부모의 염색체이상으로부터 야기된 태아의 염색체이상과 부모는 정상이지만 산모의 나이등과 연관되어 태아 염색체 기형이 있습니다.

      유산환자에서 볼 수 있는 염색체이상은 대개 염색체 일부의 위치가 바뀌어 있는 이상(Translocation)이 많으며 유산이 2회연속으로 되신 분이라면 두 부부중에 한분이 이상이 있을 확률은 5~6%정도입니다.

      임상에서 2회연속적으로 유산이 되신 분들은 부부염색체검사를 꼭 권유하지는 않으며 3회이상 유산이 되신분들은 검사를 권유합니다.

      첫번째 아이가 있는 유산환자분들중에도 염색체이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염색체이상이 있다하더라도 부모와 같이 외양적으로 정상적인 보인자일 가능성이 있고 전위된 경우라 하더라도 25%정도는 정상적인 아이가 태어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 화살표

      황체기 결함

      배란후 분비되는 황체홀몬은 임신초기에 분비되어 착상을 도와주고 임신을 유지시키는 중요한 홀몬입니다. 이 홀몬의 분비가 적으면 황체기 결함을 야기하며 불임과 유산의 원인이 됩니다. 진단은 자궁내막검사, 혹은 배란후 1주일경 황체홀몬을 측정하며 판단합니다.

      자궁내막검사는 외래에서 기구를 사용하여 자궁내막조직을 채취하여 조직검사를 통해 시행하며 약간의 통증이 있기에 검사전 진통제를 먹고 시행받는 것이 좋습니다. 검사상 이상이 있으면 한번더 시행하여 확진합니다. 자궁내막검사가 번거로우면 배란후 1주일경에 혈액채취로 시행하는 황체홀몬검사가 있는데 2회 실시하여 정상치 보다 저하되어 있으면 황체기 결함으로 진단합니다.

      황체기 결함의 치료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배란유도: 클로미펜이나 배란유도주사(HMG)를 투여함으로 배란후 황체홀몬분비를 증가시킵니다.
      2. 배란주사 (HCG) : 배란시나 배란이후 HCG를 투여하면 이후 황체홀몬 분비가 증가합니다.
      3. 황체홀몬제 투여: 주사제, 질 크림, 질좌제, 경구약등 다양한 홀몬제가 있습니다.

    • 화살표

      자궁기형

      태어날때부터 자궁모양에 기형이 있으면 유산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가장 흔한 기형은 쌍각자궁과 중격자궁인데 쌍각자궁보다는 중격자궁의 유산률이 높습니다. 자궁이 2개 있는 경우가 있고 어떤 경우는 한쪽이 퇴화되어 흔적만 남아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진단은 자궁난관조영술, 초음파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이중 쌍각자궁과 중격자궁은 복강경 및 자궁내시경을 통해 구별할 수 있으며 진단과 동시에 복강경하 자궁내시경을 이용한 중격제거술을 시행합니다. 숙련된 의사가 하는 것이 중요하며 수술시간은 대개 30~40분이내에 완료되며 환자는 당일 회복후 귀가할 수 있습니다.

      수술후 재유착을 방지하기 위해 자궁강내에 고무풍선 같은 기구를 삽입해서 5일후 제거하게 되며 홀몬치료로 자궁내막의 재생을 도와줍니다. 홀몬치료후 반드시 자궁난관조영술을 시행하여 자궁이 정상이 된 것을 확인하고 임신을 시도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화살표

      면역학적 요인

      면역학적인 요인은 전체유산에서 50%이상을 차지하며 원인불명의 유산도 80%정도는 면역학적인 기전으로 설명이 가능합니다.
      면역학적인 유산의 기전은 다음과 같이 크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1. 자가항체로 야기되는 자가면역 이상 (autoimmune)
      2. 동종간의(alloimmune) 면역이상 기전
      3. 유산과 연관된 자가항체 : Anti-cardiolipin antibody / Anti-thyroid antibody / Anti-nuclear Antibody /Rheumatoid factor / Lupus anticoagulant, etc
      4. 동종면역에서 유산과 관련된 세포 및 cytokine(분비물질) : Th-1 cytokine(INF-r, TNF-a, etc) / Embryo-toxic factor(배아독성물질) /CD 56+ Natural Killer cell(살해세포)
      진단은 상기 원인 인자들을 혈액검사를 통해 측정하여 양성인 경우 적절한 치료에 들어 갑니다.
      치료방법에 다음과 같은 것이 있습니다.
      1) ACA양성인 경우 혈관내 응고가 문제가 됩니다. 혈관내 응고를 막기 위해 항응고제인 aspirin, heparin등을 투여합니다.
      약 임신 20주까지 투여하며 필요한 경우 임신말까지 투여하기도 합니다.
      Heparin투여는 피하주사를 매일 맞아야 하기에 아스피린에 비해 부담이 되는 치료입니다.
      2) 기타 자가항체 이상일 때 면역글로불린을 투여하여 자가항체수치를 저하시키는 치료를 하기도 합니다.
      3) 황체홀몬이 면역억제효과가 있어 임신20주까지 황체홀몬을 투여하기도 합니다.
      4) 차단항체 생성을 위해 남편의 피를 뽑아 백혈구를 적출하여 부인의 혈관에 주사하는 치료를 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여러 문제점으로 치료에 신중을 요합니다.
      5) 혈액내에 CD 56+ NK cell(살해세포)의 빈도가 높을 때(20%이상) 면역글로불린을 투여합니다.
      원인불명일 경우에도 면역글로불린을 투여합니다.
      6) 임신초기에 산모의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고 정성 어린 치료를 하는 것도 큰 도움이 된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 화살표

      자궁감염

      골반장기에 세균에 감염될 때 그 자체가 유산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균주는 chlamydia, Ureaplasma등이 있습니다.

      항생제 투여를 통해 치료가 가능합니다.

    • 화살표

      원인불명

      모든 유산검사에 음성인 경우 원인불명으로 판명하며 대개 면역학적인 원인으로 간주 됩니다. 그외에도 환경오염, 심한 스트레스, 흡연등의 원인이 있으나 비교적 빈도가 적으며 흔히 유산의 원인으로 생각하는 육체적 활동, 직장생활, 가사노동등은 별로 유산과 상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임신을 하기 위해 직장을 그만 둘 필요는 전혀 없습니다. 임신되면 꼼짝않고 집안에만 누워계신 분들이 있는데 별로 도움이 안됩니다. 오히려 우울증만 생기고 무기력해지기 쉽습니다.

    대표: 한성식    사업자 등록번호: 129-19-72471
    대표 전화: 031-725-8500
    야간분만 및 응급환자 직통전화: 031-725-8530
    주소: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로 180번길 27 (서현역 5번출구)
    이메일: bd@bundangcheil.com

    COPYRIGHT(C) BUNDANG CHEIL WOMEN’S HOSPITAL. ALL RIGHTS RESERVED.

    블로그 유튜브 네이버톡톡 카카오톡
    Since 2002.05.02
    COPYRIGHT(C) BUNDANG CHEIL WOMEN’S HOSPITAL. ALL RIGHTS RESERVED.
    카카오 전화 진료시간표